▶ 주제 : 고전에 비추어보다(鑑於古典) Ⅲ
▶ 일시 : 2023년 3월 22일 ~ 6월 7일(12주), 매주 수요일 오후 2시 ~ 4시
▶ 장소 : 전남대학교 용지관 컨벤션홀
날짜 |
주제 |
강사 |
3.22. |
역사를 읽는 키워드 - 제레드 다이아몬드 『총, 균, 쇠』 |
김서형(러시아 빅히스토리 유라시아센터 연구교수) |
3.29. |
김소월 <진달래꽃> 다시 읽기 - 누가 누구에게 말하고 있는가 |
장철문(순천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) |
4.5. |
13세기 마르코 폴로가 만난 동양 - 『동방견문록』 |
설배환(전남대학교 사학과 교수) |
4.12. |
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비극 - 괴테 『젊은 베르터의 고뇌』 |
임홍배(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) |
4.19. |
부조리한 인간이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 - 도스토예프스키 『죄와 벌』 |
홍대화(부산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강사) |
4.26. |
의미는 마음의 나침판이다 - 생텍쥐페리 『어린 왕자』 |
정희남(광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) |
5.3. |
아마존 원주민에게서 문명을 배우다 - 레비스트로스 『슬픈 열대』 |
노고운(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교수) |
5.10. |
‘죽음’의 텍스트를 넘어서 - 나쓰메 소세키 『마음』 |
곽동곤(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강사) |
5.17. |
새로운 전율을 창조하다 - 보들레르 『악의 꽃』 |
김종기(부산대학교 불어교육과 교수) |
5.24 |
불운과 역경을 대하는 인간의 자세 - 어니스트 헤밍웨이 『노인과 바다』 |
이인규(국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) |
5.31. |
위하지 말라, 다만 함께하라 - 『맹자』 |
배병삼(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) |
6.7. |
비참 속에서 품어낸 희망 - 빅토르 위고 『레 미제라블』 |
이찬규(숭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