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주제 : 자연과 인간, 문화를 빚어내다
* 일시 : 2019년 3월 20일 ~ 6월 5일(12주), 매주 수요일 오후 2시 ~ 4시
* 장소 : 전남대학교 용지관 1층 컨벤션홀
일정 | 강의 주제 | 강사 |
3월 20일 | 자연과 인간, 그리고 역사 | 이영석(서양사, 광주대학교 명예교수) |
3월 27일 | 왕유, 시와 그림으로 담아낸 자연 | 박삼수(울산대학교 중국학과 교수) |
4월 3일 | 농경의 시작, 문명을 열다 | 김민구(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교수) |
4월 10일 | 클래식 선율을 타고 오는 봄 | 나성인(클래식음악해설자) |
4월 17일 | 남북극에서 읽는 지구 역사, 그리고 사람 이야기 | 신형철(한국해양과학기술원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) |
4월 24일 | 인상파, 햇빛과 물결을 예술로 담다 | 전원경(서울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 교수) |
5월 1일 | 소나무와 대나무, 그리고 한민족 | 공우석(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) |
5월 8일 | 자연이 말해주는 것을 받아 쓰다 | 김용택(시인) |
5월 15일 | 자연으로서의 한옥, 그리고 그 속의 인간 | 이상현(한옥연구가) |
5월 22일 | 꽃은 속삭이고 동물은 노래하네 | 손철주(미술평론가) |
5월 29일 | 나스카, 메마른 대지 위에 핀 염원 | 정혜주(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) |
6월 5일 | 한국사에 있어서 풍수지리사상의 역할과 위상 | 김병인(전남대학교 사학과 교수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