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주제 : 고전에 비추어보다(鑑於古典) Ⅱ
* 일시 : 2018년 9월 12일 ~ 12월 12일(12주), 매주 수요일 오후 2시 ~ 4시
* 장소 : 전남대학교 용지관 1층 컨벤션홀(11월 7일만 민주마루)
일정 | 강의 주제 | 강사 |
9월 12일 | 한국 고대를 여는 창, 『삼국사기』 | 이강래(전남대 사학과 교수) |
9월 19일 | 지금 왜 명상록을 읽는가 – 아우렐리우스 『명상록』 | 이주향(수원대 교양대학 교수) |
10월 10일 | 우주의 신비로움에 매료되다 – 칼 세이건 『코스모스』 | 이명현(과학저술가) |
10월 17일 | 상징과 은유의 성찰 : 『우파니샤드』 | 이재숙(한국외대 강의교수) |
10월 24일 | 『논어』, 사람의 길을 열다 | 배병삼(영산대 자유전공학부 교수) |
10월 31일 | 한국 근대사의 대서사, 박경리 『토지』 - 『토지』를 읽는 방법- | 최유찬(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) |
11월 7일 | [박물관 열린강좌] - 장소 : 민주마루(구 대강당) 거리의 ‘작은 이야기’가 만든 위대한 고전, 『삼국지연의』 | 이성원(전남대 사학과 교수) |
11월 14일 | 중국 시의 최고봉, 唐詩 -이백과 두보를 중심으로- | 신하윤(이화여대 중어중문학과 교수) |
11월 21일 | 프로이트, 무의식의 향연 - 프로이트 『꿈의 해석』 | 김석(건국대 융합인재학부 교수) |
11월 28일 | 슬픈 시작에서 행복한 결말로 - 단테 『신곡』 | 박상진(부산외대 교양학부 교수) |
12월 5일 | 두 손 모아 신에게 바치는 노래 시? - 타고르의 『기딴잘리』 | 김우조(한국외대 인도어과 교수) |
12월 12일 | 거룩한 긍정을 품고 있는 예술작품 – 니체 『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』 | 박구용(전남대 철학과 교수) |